영유아 가정을 위한 현금성 복지 혜택, 바로 양육수당과 아동수당입니다.
헷갈리는 기준과 차이점, 신청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✅ 1. 양육수당
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직접 아이를 돌보는 가정을 위한 수당입니다.
항목 | 내용 |
---|---|
지원대상 |
만 0세~84개월 미만의 아동 중 어린이집, 유치원, 종일제
아이돌봄서비스 미이용 가정 |
지원금액 |
0~11개월: 월 20만 원 만 1세: 월 15만 원 만 2세 이상: 월 10만 원 농어촌 지역: 월 15.6만 원 장애아동 가정: 월 20만 원 |
신청방법 |
복지로 온라인 신청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 |
지급일 | 매월 25일 (공휴일일 경우 전일) |
지급방식 | 보호자 명의 계좌 입금 |
📌 유의사항
- 어린이집, 유치원 등을 이용할 경우 양육수당은 중복 지급 불가
- 아동이 90일 이상 해외 체류 시 지급 중지
💡 추가 팁
- 출생 후 60일 이내 신청 시, 출생일로 소급 지급
- 행복지킴이통장 개설 시 압류 방지 기능 가능
💰 양육수당,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
- 0~11개월 아동: 월 20만 원
- 만 1세: 월 15만 원
- 만 2세 이상: 월 10만 원
- 농어촌 지역: 월 15.6만 원
- 장애아동 가정: 월 20만 원
✅ 2. 아동수당
연령에 따라 대한민국 아동 모두에게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기본 수당입니다.
항목 | 내용 |
---|---|
지원 대상 | 만 0세 ~ 만 8세 미만 (만 7세까지 지급 → 확대 적용 중) |
지원 금액 | 월 10만 원 정기 지급 |
소득 기준 | 무관 (모든 가정 대상) |
신청 방법 |
정부24 아동수당 신청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 |
지급 방식 | 보호자 명의 계좌 입금 |
📌 알아두면 좋아요
- 기본 신청 후 만 8세까지 자동 지급
- 입학 전 3월까지 지급되며, 이후 자동 중지
👶 아동수당, 누구나 받을 수 있을까?
- 지원 대상: 만 0세 ~ 만 8세 미만 아동 (만 8세 생일이 속한 달까지 지급)
- 지원 금액: 아동 1인당 월 10만 원
- 지원 방식: 매월 현금 지급
- 소득 관계: 무관 (전 계층 지급)
💡 유리한 지원 신청하기
아이가 어디에 다니고 있는지에 따라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이 다릅니다.
보육료, 유아학비, 양육수당 중 어떤 걸 신청해야 가장 유리한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!
상황 | 받을 수 있는 지원금 | 꼭 확인할 것 |
---|---|---|
어린이집 이용 중 | 보육료 | 양육수당 중복 불가, 반드시 보육료 신청 |
유치원 이용 중 | 유아학비 | 보육료/양육수당 중복 불가, 유치원 입학 전에 신청 필수 |
가정 양육 중 | 양육수당 | 기관 미이용 시만 가능, 현금 지급 |
출생 후 60일 이내 | 보육료 / 유아학비 / 양육수당 | 소급 가능! 꼭 기간 내 신청 |
해외 90일 이상 체류 | ❌ 지급 중지 | 재입국 후 재신청 필요 |
압류 걱정 있는 경우 | 행복지킴이 통장 | 복지 수당 전용 통장 개설 권장 |
🪄 실제 예시로 쉽게 정리
- 0세 아동 & 어린이집 다님 → 보육료 월 51만 원
- 4세 유아 & 유치원 다님 → 유아학비 월 28만 원
- 2세 아동 & 가정양육 중 → 양육수당 월 10~20만 원
- 출생 30일 & 기관 이용 전 → 양육수당 → 추후 보육료 전환
📎 놓치기 쉬운 핵심 요약!
- 보육료: 어린이집 이용 시 최대 월 51만 원 지원
- 유아학비: 유치원 이용 시 월 28만 원 정액 지원
- 양육수당: 가정 양육 시 월 10~20만 원 현금 지급
- 신청처: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
🔗 신청 바로가기